본문 바로가기

교육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Ⅱ

728x90
SMALL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중에서 5~8단계 알아보기

에릭슨은 인간의 발달을 전 생애적 관점으로 보고 발달 과정을 총 8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단계마다 성취해야 하는 과업과 극복해야 하는 위기가 있습니다.

 

 

1. 심리사회적 발달 5단계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청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자아정체감의 확립으로 보았습니다. "나는 누구인가?"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찾아간다고 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정체가의 위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 시기는 성인기로 옮겨가는 과도기이며, 수많은 선택과 결정을 해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를 잘 극복하면 충실이라는 덕목을 갖게 됩니다.

 

 

2. 심리사회적 발달 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타인과의 친밀함을 이룩하는 시기입니다. 성인기에 친밀한 관계란 타인을 이애하고 깊이 있는 공감을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계를 만들 수 없거나 두렵다면 고립되고 자기 몰두에 빠지게 됩니다. 정체감을 확립한 이후, 진정한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시기의 과업과 위기를 극복하면 성숙한 사랑의 덕목을 가지게 됩니다.

 

 

3. 심리사회적 발달 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

생산성의 발달과업을 가지게 됩니다. 성숙한 성인이 다음 세대를 이끌고 관심을 두는 것을 말합니다. 다음 세대를 통해 자신의 불멸을 성취하고자 하는데, 충족되지 않을 경우 침체 성에 빠지게 됩니다. 생산성은 자녀를 낳아서 기르는 것, 기술을 전수하는 것, 문화를 혁신하고 보존하는 것 등이 해당됩니다. 이 시기의 과업과 위기를 극복하면 배려라는 덕목을 가지게 됩니다.

 

 

4.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통합감 대 절망감

자신의 삶이 만족스럽고 후회가 없는 삶이라고 받아들이고 죽음을 수용하게 되는 것을 통합 감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자신의 삶이 무의미한 것이라고 후회한다면 절망감에 빠지게 됩니다. 이 시기의 과업과 위기를 극복하면 지혜라는 덕목을 가지게 됩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를 정리하며

에릭슨은 심리성적 단계에 심리사회적 단계를 첨가시켰고 생물학적 강조에서 문화적 영향을 연구하였습니다. 아동발달에 성인발달을 첨가시켰다는 것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전 생애발달적 접근을 강조한 것이 에릭슨의 큰 공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념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발달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며 이론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