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무의식과 심리적 에너지의 개념으로 인간의 성격발달 과정을 설명하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심리학적 동기로 성욕과 공격 욕구를 주요 개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인생의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는데, 5세 이전 아동과 부모와의 관계가 인성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하였습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이론에서 의식 수준
1) 의식: 개인이 의식하고 있는 모든 행위와 감정을 포함합니다. 의식 수준은 인간 생활의 일부를 차지하게 됩니다.
2) 전의식: 조금만 노력하면 의식 속으로 떠올릴 수 있는 개인의 생각과 감정을 포함합니다.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해 주고 있습니다.
3) 무의식: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무의식은 정신작용에서 지배적인 힘을 갖고 있습니다. 빙산의 일각 그림에서 물속에 잠김 큰 부분이 바로 무의식을 나타냅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정신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개인과 사회가 용납할 수 없는 감정과 생각, 충동이 억압되어 내적 갈등을 경험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서 성격의 구조
1) 본능: 원초아라고 불리며 출생 시, 무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쾌락 원리에 의해 지배됩니다.
2) 자아: 현실 원리에 의해 지배됩니다. 이 영역에서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본능의 욕구를 만족시키려고 합니다.
3) 초자아: 3세~ 6 게 경에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이상과 도덕을 추구하고 양심의 원리에 의해 지배를 받습니다. 본능과 초자아 간에 갈등이 생기면 자아가 중재 역할을 합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이론에서 리비도란?
성적 본능 에너지이며 성격발달에서 큰 영향력을 가집니다. 발달에 따라 일정한 순서로 리비도가 집중되는 신체의 부위가 달라집니다. 발달 단계 구분의 특징으로 설명됩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이론에서 고착이란?
발달 단계에서 욕구가 적절하게 충족되지 못할 경우(지나치거나 또는 부족한 경우) 성격 형성이 다음 단계로 발달하지 못하고 그 단계에 고착되는(머무는) 현상을 겪습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의 평가
이와 같이 심리성적 이론에서는 무의식을 강조하였습니다. 무의식을 통해 성격발달에 관한 근본적 가설을 제시하였고 초기에 경험하는 부모와의 관계가 이후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5.02 |
---|---|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단계에 대하여 (0) | 2022.04.28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 대하여 (0) | 2022.04.25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에 대하여 (0) | 2022.04.24 |
왓슨 행동주의 이론과 스키너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에 대하여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