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서발달에서 애착 발달을 동물행동학적 이론으로 더 살펴보기
애착 이론에서 볼비(Bowlby)에 의하면 애착의 발달은 근본적으로 생존유지와 보호를 위한 본능적인 반응의 결과로 보았습니다. 애착 행동은 인간의 생득적인 반응인 빨기, 울음, 미소, 따라다니기, 매달리기 등과 같이 초기 사회적 신호체계에 모체로 합니다.
어머니가 영아를 마주 보고 안아주거나, 영아와 접촉하는 것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는 것 등의 내재적인 특별한 반응양식이 있기 때문에 모자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애착이 발달한다고 보았습니다.
사회정서발달에서 애착발달 동물행동학적 연구의 과정
볼비의 애착이론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했습니다. 애착이 배고픔과 같은 일차적 욕구 충족과 관계없이 발달한다고 연구한 할로(Harlow)의 결과에 그 토대를 두는 것입니다. 할로와 짐머만(Zimmerman)의 연구한 유명한 실험이 있습니다.
원숭이 새끼들은 어미와 격리되어 철사 엄마와 헝겊 엄마의 두 대리모에 의해 양육됩니다. 철사 엄마와 헝겊 엄마에게 우유병을 부착해서 1/2은 철사 엄마에게서 우유를 얻어먹고, 1/2은 헝겊 엄마에게 우유를 얻어먹도록 했습니다.
사회정서발달에서 애착발달 동물행동학적 연구의 결과
원숭이 새끼들은 어떤 엄마에게서 수유를 받았든 상관없이 모두 헝겊 엄마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철사 엄마에게서만 젖을 먹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유하는 시간만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시간을 헝겊 엄마와 함께 보냈습니다.
낯선 물체가 나타났을때에도 두려워하는 반응을 보이면서 모두 헝겊 엄마에게로 달려가 매달렸습니다. 배고픔을 덜어준 것이 철사 엄마이므로 철사 엄마를 더 좋아해야 했는데 연구결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수유가 애착형성에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유명한 실험입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발달 정서 및 자아발달 기질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7.20 |
---|---|
애착 발달 애착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7.19 |
애착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으로 살펴보기 (0) | 2022.07.13 |
아동발달 애착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7.12 |
아동의 성역할 발달 이론 정신분석 이론적 측면에서 살펴보기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