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아동발달 이타성 이론에 대해 이해하기

728x90
SMALL

아동발달에서 이타성 이론에 대해 이해하기

이타성은 타인의 행복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배려하는 심리적인 특성입니다. 아동기의 또래집단뿐만 아니라 자라서 성인이 된 후, 사회적 관계를 맺는 집단에서 얼마나 개인이 존경받고 수용되는가를 결정짓는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타성이 행동으로 나타날 때 친사회적 행동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1. 이타성 이론에서 생물학적 이론 측면

생물학 이론에서는 종의 생존에 필요한 행동은 진화되고 종의 생존에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진화되지 않는다라고 주장합니다. 이타성처럼 개인보다는 집단이나 종의 전체에 유익하게 작용하는 특성은 다음 세대에 전해집니다. 이타성은 종의 생존뿐만 아니라 개인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도움을 받은 사람은 자신에게 도움을 준 사람에게 보답하려는 마음을 가집니다. 따라서 타인을 돕는 행동은 다른 사람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 이타성 이론에서 정신분석 이론 측면

프로이트에 의하면 어린 아이는 원초아, 즉 충동에 따라서 행동을 합니다. 유아기에는 초자아가 발달하면서 부모의 규정과 가치가 내면화됩니다. 부모의 가치나 외적 규준에 위배되는 행동을 하게 되면 죄책감을 느끼게 됩니다. 내면화된 기준과 일치하는 행동을 하게 되면 자부심과 만족감을 느끼게 됩니다. 어려운 처지에 놓인 타인을 돕지 않았을 때는 양심의 가책을 느끼므로 이타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3. 이타성 이론에서 사회학습 이론적 측면

이타적 행동 또한 강화와 관찰학습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보상을 받게 되면 이타적으로 행동하게 되고 반대일 경우에는 처벌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타인이 보이는 이타적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할 경우에도 이타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공감능력 또한 이타성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사회학습 이론에서는 강화, 사회적 모델링 공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4. 이타성 이론에서 인지발달 이론적 측면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1단계에서는(2세경) 영아는 자신과 타인을 구별할 수 있게 됩니다. 기분이 좋지 않은 또래에게 자신의 장난감을 나눠주거나 기분을 좋게 해 주려고 합니다. 2단계는(7세 이전) 피아제의 전조작기와 비슷한 시기입니다. 자기중심적 특성을 가지므로 아동은 이타적 행동이 자신에게 이로울 경우에 이타적 행동을 하게 됩니다.

3단계(초등학교 시기)는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됩니다. 탈중심화되고 역할 수용 능력도 획득이 되어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는 시기입니다. 4단계는(청소년기) 피아제의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됩니다. 도덕성에 대한 보편적 원리를 이해하게 되는 시기로 이타적 행동이 발달하게 됩니다.

아동발달에서 이타성 이론을 정리하며

이처럼 이타적 행동은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발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세 이전의 영아에게서도 이타적 행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타적 행동이 인간 본성의 일부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