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아동발달 자아의 발달에 대해 알아보기

728x90
SMALL

아동발달에서 자아의 발달에 대해 알아보기

인간은 다른 사람과 주변의 환경을 구분할 수 있게 되면서 자아가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신생아기 역시 자신의 울음소리보다는 다른 아기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자신과 다른 사람을 구분하는 능력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신체와 외부 대상을 변별하기 시작하면서 자아가 발달합니다.

아동발달 자아의 발달에서 자아인식이란

자신이 타인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면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것이 자아인식입니다. 여기 재미있는 실험(Lewis Brooks-Gunn, 1979) 이 있습니다.

자아의 발달에서 자아인식 실험

9개월~24개월 된 영아에게 코에 빨간 립스틱을 칠한 후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을 보게 합니다. 어린 영아들은 거울 속 인물이 자신인지 모릅니다. 이에 비해 18개월~24개월 된 영아들은 거의 거울 속에 비친 아기가 자신임을 인식하고 자신의 코를 만집니다.

따라서 18개월 이후 영아는 자신을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액자의 사진 속에 있는 자신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나' 또는 자기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자아인식은 자신의 얼굴에 대한 도식을 내재화함으로써 가능하기 때문에 인지발달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자아의 발달에서 자아의 범주 발달

2세경부터는 자아의 범주를 발달시켜나갑니다. 남아인지, 여아인지 또는 아이인지, 어른인지 등 기본적인 범주의 자아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3세부터는 언어능력이 발달함에 따라서 자신에 대해 진술하기 시작합니다. '나는 발이 커요.', '나는 자동차를 좋아해요.' 등 자신의 신체적 특징, 소유, 인간관계, 기호 등 밖으로 드러나는 특성에 대해 주로 이야기를 합니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심리적 특성과 자신의 능력을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나는 달리기를 잘해요.', '나는 엄마가 좋아요.' 등으로 표현합니다. 구체적 조작능력의 발달과 함께 아동이 표현하는 범주적 자아는 더 구체화되고 위계적인 유목 범주를 따르게 됩니다.

아동발달 자아의 발달에서 자아존중감이란

자아존중감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자신이 가진 특성에 의해 자신의 가치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유아기의 자아존중감은 일반적으로 높은 편에 속합니다. 아동기에 접어들면서 객관적 평가로 조정되기도 합니다. 학령기에는 신체, 학업, 사회적 자존감 등 더 세분화되어 나타납니다.

자아의 발달 자아존중감에서 부모의 영향력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영향력이 중요합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의 부모는 자녀에게 애정과 관심을 표현합니다. 만약 문제행동을 한다면 애정 박탈이나 체벌보다는 어떤 행동이 좋고 나쁜가에 대해 토론하는 민주적인 양육방식을 갖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아의 발달 자아존중감에서 또래의 영향력

또래 역시 자아존중감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아동들이 노는 것을 보면 소유물, 옷차림, 가정환경 등 서로 비교를 하게 되는데 결과가 긍정적일수록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초등학교 시기가 되면 학업적 성취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자아존중감의 안정성은 8세경에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8세경이 되면 그 이전보다 안정된 자아존중감을 갖는다고 합니다. 8세 이전에는 (4세~7세 정도)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보다는 스스로에 대한 기대가 평가에 작용하여 판단의 정확성이 낮고 대체로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