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자아 발달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 알아보기

728x90
SMALL

자아 발달에서 자기 효능감과 자기 통제에 대해 알아보기

자기 효능감이란 자신이 스스로 상황을 극복할 수 있고,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다는 신념 또는 기대를 말합니다. 자기 효능감이 높으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촉진합니다. 과제지향적으로 꾸준히 노력하여 높은 성 취수 준으로 도달하게 됩니다. 반면, 자기 효능감이 낮으면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게 되어 자신감이 결여되고 성취지향적 행동을 위축시키게 됩니다.

 

 

아동발달에서 자기 효능감이란

아동발달에서 주로 아동기에 자기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정한 과제가 주어졌을 때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는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자신이 얼마나 잘 해낼 수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처음 타 보고 잘 해낸 아동은 앞으로 꾸준하게 연습을 하면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입니다.

 

 

자기 효능감과 과제 수행

자기 효능감을 가진 아동은 어떤 과제가 주어지든 실패한다는 학습된 무력감을 갖게 합니다. 학습된 무력감은 지속적으로 실패한 경험에 의해 누적되어, 어떤 과제가 주어지더라도 시도를 해 보지 않고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학습된 무력감을 가진 아동은 어떤 과제에 대해 한번 성공하게 되면 스스로 잘해서 해낸 것이 아니라 운이 좋았다고 느끼게 만듭니다.

 

 

자아 발달에서 자기 통제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순간의 충동적인 욕구, 행동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어떤 달콤함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 만족을 지연하는 능력,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으로 구성됩니다. 충동을 억제하지 못한다면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고, 규칙을 위반하여 다른 사람들과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목표 달성에 필요한 인내심을 갖지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자기 통제 능력과 아동기

자기 통제 능력 또한 아동기에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동이 인지적으로 성숙해짐에 따라서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규제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자기 규제와 자기 통제의 가치를 강조하는 규준을 내면화하기 때문으로 설명됩니다.

 

 

자아 발달에서 자기 효능감과 자기 통제를 정리하면서

아동이 미래를 위해 즉각적인 충동이라 욕구 만족을 통제하는 것은 성숙한 인간으로서 매우 중요합니다. 여러 연구에 의해 밝혀졌는데, 자기 통제 능력은 안정적인 특성으로 청년기 자아존중감을 예측해 주는 인지적 능력, 사회적 기술, 자신감 등의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성인기의 직업적 성공과 대인관계에서의 성공을 예측하는 특성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자기 통제 능력은 '자아'의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