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아동발달 성숙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728x90
SMALL

아동발달의 성숙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성숙 이론에서 발달이란, 유기체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환경은 행동을 변화시키는 2차적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아동 자신의 속도에 알맞은 발달을 위해서는 아동 중심의 양육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성숙 이론에서는 학습준비도의 개념을 이야기합니다. 학습준비도는 유아에게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유아가 성숙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학습의 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아동이 배울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려주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아동발달에서 성숙의 개념

게젤(Gesell)의 성숙 이론을 살펴보면, 그는 태아가 모체에서 하나의 개체로 자리를 잡은 후 10개월 동안 외부(환경)로부터가 아니라 내적인 힘에 의해 성장한다는 발달의 예정론을 주장하였습니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메커니즘으로 유기체는 발달한다는 것입니다. 유전자가 발달과정을 방향 짓는 기제에 대한 것을 성숙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유기체들이 성장하는 데는 이미 성장의 방향이 결정되어 있는 성장모형을 갖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미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환경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고 있는데, 태아 발달에 있어서 성숙은 자궁 내의 양수 온도와 모체로부터 들어오는 산소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습니다. 다만, 성숙과 환경 중에서는 성숙이 더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아동발달에서 성숙관련 발달의 원리

1. 발달방향의 원리

발달은 무작위가 아닌 정돈된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합니다. 머리에서 발 쪽으로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팔의 협응이 다리의 협응에 선행되어 나타납니다. 두미 발달 경향이라고 부릅니다.

2. 상호교류의 원리

영아는 한 손을 사용하고 다른 손을 사용하며, 양손을 사용하는 등 계속적인 반복 과정을 통해 능숙하게 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3.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

그는 약간의 불균형이 더 기능적이라고 하였는데 기능적 불균형은 신생아의 경직성 목 반사에서 나타난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비대칭적 행동은 환경에 익숙해지고 환경을 이해하려는 아동의 노력에 있어서 중요한 단계가 됩니다.

4. 자기규제의 원리

유아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맞도록 성장을 조절하고, 이끌어 가는 능력을 말합니다. 영아가 걸음마를 배울 때 몇 걸음 걷다가 다시 가고, 또 몇 걸음 걷다가 기어가는 것 등 발전과 퇴보를 주지적으로 거친 후에 걷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동발달에서 성숙 이론을 정리하면서

이와 같이 성숙의 가장 큰 특징은 정해진 순서의 발달단계를 거친다는 것입니다. 심장이 먼저 생성되고 비로소 세포들이 빠른 속도로 분화되어 두뇌와 척수 같은 중추신경계가 형성됩니다. 그리고 양아는 앉고, 서고, 걷고, 뛰는 것을 학습합니다. 정해진 발달 단 게를 거치지만 발달 속도에는 개인차가 있다고 게젤은 주장하였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