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서 지형학적 모형에 대해 알아보기
프로이트는 정신은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세 층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였습니다. 인간의 성격과 발달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지형학적 모형이라고 부릅니다. 그는 성격을 빙산에 비유하였는데, 물 위에 떠 있는 작은 부분은 의식이라 하였고, 물표면과 아래로 왔다 갔다 하는 부분은 전의식이라고 했습니다. 물속에 잠긴 가장 큰 부분을 무의식이라고 했습니다.
1. 프로이트의 지형학적 모형에서 의식이란
개인이 의식하고 있는 정신작용의 층을 의미합니다. 의식의 대부분은 물 속에 잠겨 있고 작은 부분만 표면 위에 떠 올라 있습니다. 그는 정신활동의 매우 제한된 부분만 특정한 순간에 의식으로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2. 프로이트의 지형학적 모형에서 전의식이란
개인이 내용을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무의식의 일부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적절한 질문과 자극을 줌으로써 자발적인 회상이 가능합니다. 의식 속에는 없지만 기억, 회상, 사고의 과정으로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 전의식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문제가 잘 풀리지 않을 때 잠자리에 들기 전 의식하지 않아도 전의식으로부터 해결책이 떠 오를 수 있습니다.
3. 프로이트의 지형학적 모형에서 무의식이란
인간의 의지력으로 쉽게 의식할 수 없는 경험과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식으로 나오기 위해 특별한 노력과 최면, 해석이 요구됩니다. 무의식의 내용은 억압에 의해 무의식 속에 갇혀 있는데, 그것은 잠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역동저기고 활동적인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사고는 금지된 생각, 행동을 처벌하는 무의식적 욕망으로 이해될 수 있고, 달콤한 것을 원하는 것은 사랑에 대한 무의식적이고 상징적인 억압적 욕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억압된 무의식적 소망이 꿈을 꿀때 왜곡된 의식으로 나타나는 것이 꿈입니다.
프로이트의 지형학적 모형을 정리하며
빙산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프로이트가 강조한 무의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간의 내면에 숨겨진 역동적 힘을 의식하지 않고도 소망, 동기, 환상, 감정이 나타날 수 있다는 프로이트의 기본적인 가정을 지지하는 증거들이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숨은 힘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단계(1~2단계) (0) | 2022.08.16 |
---|---|
프로이트 심리성적 이론 구조적 모형 (0) | 2022.08.13 |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8.11 |
아동발달 성숙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7.27 |
자아 발달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 알아보기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