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단계(1~2단계)

728x90
SMALL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단계에 대해 알아보기

프로이트는 영아기부터 리비도의 충족을 가져오는 신체부위나 성감대에 따라서 일련의 예정된 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쾌락의 만족을 주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서 심리성적 유형이 달라지는데,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로 발달합니다. 

 

 

1. 심리성적 발달단계 1단계 구강기

생후 1년까지가 해당이 되는 단계로, 입과 구강 부위가 쾌락의 원찬이 됩니다. 주로 빨고 먹는 행위뿐만 아니라, 젖꼭지를 빨거나 손가락을 빠는 등 입으로 가져가 빠는 구강 활동을 통해서 아동은 쾌락을 추구합니다.

 

 

2. 심리성적 발달단계 1단계에서의 고착

프로이트는 각 단계마다 아동이 추구하는 쾌락을 만족해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쾌락이 좌절되면 다음 단계로 가지 못하고 고착된다고 하였는데, 이 단계에 고착이 되면 과음이나 과식, 수다, 빈정거림, 과도한 흡연이나 비평 등 구강기적 성격이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과도한 만족 또한 고착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심리성적 발달단계 2단계 항문기

3세까지 해당되고, 항문적 활동을 통해서 쾌락을 얻는 시기입니다. 아동은 쾌감을 얻기 위해 배설을 미루며 보유하거나 배설을 통해 안도와 쾌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즉, 배설물의 배설을 통해서 긴장과 불편함이 감소되는 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 시기에 적절한 때와 장소에서 배설이 이루어지는 배변훈련을 하게 됩니다.

 

 

4. 심리성적 발달단계 2단계에서의 고착

엄격하고 지나친 배변훈련을 받게 되면 고착이 나타납니다. 참는 근육수축에 고착이 되면 강박적 항문기 성격이 나타나서 청결, 질서에 대한 강박이나, 인색한 수전노가 되기도 합니다. 반대로 근육이완에 고착이 되면 폭발적 항문기 성격으로 나타나 지저분하고 낭비벽이 있는 사람이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1~2단계를 정리하며

프로이트의 리비도가 집중되는 시기에 따라서 아동이 발달단계를 거친다는 것이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아기들이 1세까지는 입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지 빠는 행위가 이해가 되는 이론입니다. 3세까지 이루어지는 배변훈련도 어떻게 사회규범을 체득해 나가는지를 보여줍니다. 아기의 배설에 대한 본능적인 행위가 점차 타인과 규범을 고려하게 되는데, 주요 양육자는 이 시기에 아동의 발달을 잘 지켜보며 케어를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