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 성격의 구조 더 알아보기

728x90
SMALL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서 성격의 구조 더 알아보기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태어난 시그문드 프로이트는 의과대학에 진학하여 신경계통 공부를 하였습니다. 인간의 본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인간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존재가 아닌 비이성적인 존재라고 하였습니다.

때로는 자신도 알지 못하는 숨겨진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중대한 심리적 본성은 이성이 아닌 욕망이라는 것입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서 성격의 구조

1) 의식: 주의를 기울이는 순간 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작용의 부분입니다.

2) 전의식: 주의를 집중하고 노력을 하면 의식이 될 수 있는 정신작용의 부분입니다.

3) 무의식: 전혀 의식하지 못하는 정신작용 부분입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서 성격 구분

1) 원초아: 성격의 가장 원초적 부분으로 생물학적 본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능은 성적인 것, 공격적인 것입니다. 무의식 세계에 존재하고 쾌락의 지배를 받습니다. 쾌는 긴장이 감소되는 것을 말합니다.

2) 자아: 중흥적인 추동을 자제하고 현실을 고려하도록 하는 것이 자아입니다. 자아는 현실 원리를 따릅니다.

3) 초자아: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 잘못된 행동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는 것이 양심입니다. 잘한 행동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는 것이 자 아이상입니다. 자아와 초자아는 의식과 무의식 세계에 걸쳐서 존재합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의 평가

따라서 본능적인 원초아와 이를 자제시키려는 초자아 사이에 긴장이 발생합니다. 이 순간 자아가 중재 역할을 합니다.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 갈등을 느끼게 되고 불안이 생깁니다. 불안하면 고통스러우므로, 방어하는 기술을 발달시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앞서 발행한 포스팅에 있는 방어기제입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