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발달이론의 비교에서 공자의 이상적 인간상에 대해 알아보기
동양심리학과 서양심리학의 큰 차이점은 인간의 발달과정을 연구하는 접근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비정상적인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반면, 동양에서는 모범이 될 만한 성숙한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Z이론에서 Maslow는 완전한 인간(fully human), 자아실현인(self-actualized person) 등을 기술했는데, 이는 동양심리학의 이상적 인간상과 유사합니다.
공자의 이상적 인간상 [군자]
공자는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군자(superior man)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람됨의 도를 닦아 훌륭한 인격을 갖춘 사람을 뜻하는 것이 '군자'입니다. 사람은 원래 비슷하나 자기 수양에 의해 점점 차이가 납니다. 우월(superior)은 다른 사람보다 뛰어남을 말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과거의 자신, 현재의 자신보다 뛰어난 것을 말합니다.
그는 발달의 목표로 인을 강조합니다. 인은 완전한 자기이해와 한 걸음 더 나아가 타인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말합니다. 주요 특성으로는 진실, 정의, 효, 상호준중입니다. 인은 사랑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며 처음은 부모에 대한 사랑입니다. 다음은 이웃에 대한 사랑, 궁극적으로는 모든 인간에 대한 사랑입니다. 적절한 인간관계는 예를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인을 갖춘 사람은 언행이 진실되고 거짓이 없고, 말하고 행하는 것이 곧 그가 생각하는 바와 같다고 했습니다. 공자는 논어, 대학, 예기에서 군자의 특성에 대해 말하였습니다. 정의를 추구하는 사람, 배우기를 게을리하지 않는 사람, 언행이 일치하는 사람, 친화적 인간관계를 가진 사람, 정신적으로 안정된 사람, 자기 통찰을 통해 스스로 잘못을 고치는 사람, 남이 인정해주는 것에 급급해하지 않는 사람, 물욕에 빠져 있지 않은 사람, 신의가 있는 사람, 의로운 일에 용기가 있는 사람, 예를 준중하는 사람, 자기 일에 충실한 사람, 확고한 주체성을 가지고 남에게 의존하지 않는 사람, 인내하고 자제할 줄 아는 사람, 남의 좋은 점은 키워주고 허물은 들추지 않는 사람이라 하였습니다.
공자의 이상적 인간상 군자를 정리하며
논어와 대학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대학 시절부터 논어는 항상 책꽃이에 있었습니다. 학창 시절 한문시간에 배웠던 공자의 말씀이 기본이 되어, 중심이 흔들릴 때마다 바로잡기 위해 읽는 책입니다. 군자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우월(superior)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항상 남과 비교해서 내가 부족한 부분과 남이 가진 부러운 점을 생각했습니다. 갖기 위해서 갖고 싶어서 뛰어넘고 싶어서 경쟁하며 살았습니다. 물론 다른 사람보다 뛰어나기를 바라는 마음도 포함되어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자신과의 싸움(경쟁)입니다. 과거의 자신보다 더 나은 삶과 인품을 갖는 것, 현재의 자신보다 우월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의, 진실, 성실, 예, 효, 자립 등 평소에 삶에 있어 추구하는 모습과 틀리지 않는 군자의 상! 그 옛날 공자님의 말씀이 오늘날에도 이토록 마음에 울림을 주에 경의를 표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전에서 배우는 이상적인 인간상 (0) | 2023.01.31 |
---|---|
융(Jung)의 성인기 분석이론에 대한 평가 (0) | 2023.01.09 |
융(Jung)의 성인기 발달단계 (0) | 2023.01.03 |
성인기 분석이론 융(Jung)의 성격의 구조 Ⅲ (0) | 2023.01.02 |
융(Jung)의 성인기 분석이론에서 성격의 구조 Ⅱ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