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융(Jung)의 성인기 분석이론에 대한 평가

728x90
SMALL

융의 분석이론은 현대사사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업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최근 융의 견해를 지지하는 경험적 연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1) 레빈슨의 연구에서 평가하기

레빈슨(Levinson)은 성인발달연구에서 발견한 연구결과를 융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습니다. 레빈슨의 연구대상자 중 40~45세경에 위기를 경험하는 상당수가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지금까지 숨을 죽이고 있다가, 이제는 아우성치는 내면의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입니다.

 

 

레빈슨은 30대에는 사회적인 적응과 성취를 향한 측면에 삶의 초점을 둘 수 밖에 없지만, 40대에 와서는 무시되었던 측면들이 표출되려고 하므로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도록 촉구한다는 것입니다.

 

 

 

2) 뉴가르텐(Neugarten)의 연구에서 평가하기

뉴가르텐의 연구는 40대와 50대 남녀 모두, 에너지가 외부 세계로부터 내부 세계로 향해 이동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성(introspection), 명상, 자기 평가 등 점차적으로 정신생활의 특징이 됩니다.

 

 

남성은 친교적, 양육적, 감각적 충동에 민감해지고, 여성들은 공격적, 자기중심적 충동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레빈슨과 같이 뉴가르텐도 융이 주장한 성격의 변화에 지지하고 있습니다. 융의 분석이론이 심리학계에 주목을 받지 못한 이유는 실험연구보다는 임상적 발견과 역사적이고 신화적인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융은 실제로 그의 저서에서 신비주의와 종교에 대해 많은 것을 논의했습니다. 이에 많은 심리학자들은 융이 제시한 방식이 모호하고 혼돈을 일으키고 무질서하다고 생각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