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빈슨의 인생구조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레빈슨은 수태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인생주기를 계절로 접근한 연구자입니다. 인생주기에는 아동기와 청년기, 성년기, 중년기, 노년기 등 질적으로 다른 네 개의 계절이 존재하며, 각각은 독특한 특성을 가진다고 보았습니다.
그의 이론에서 핵심적인 개념은 인생의 구조입니다. 특정 시기에 개인적 생활의 기초가 되는 유형이나 설계를 말합니다. 이것은 개인과 환경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그 관계에 의해 구체화되는 발달적 기초 안이 됩니다. 주요한 구성요인은 배우자, 자녀, 직장상사, 동료 등뿐만 아니라 교회, 동호회 같은 중요한 집단, 사회구조와 이 관계가 속합니다.
레빈슨이 제시한 발달단계
1) 아동, 청소년기(0~22세): 수태에서 부터~ 청년 후기까지 인생 형성기
2) 성년기(17세~45세):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을 하며, 최고의 정력을 발휘하는 시기. 가장 큰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함
3) 중년기(40세~65세): 대부분 생물학적 능력이 감소하거나 감퇴하지만 사회적 책임은 더 커지는 시기
4) 노년기(60세 이상): 인생의 마지막 단계
레빈슨의 인생구조이론을 정리하며
인생주기를 네 계절에 비유한 것이 특징적입니다. 각 계절은 약 20년 정도 지속된다고 보았습니다. 각 계절은 대약 5년간 전환기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환기 동안에는 스스로 세운 인생 구조를 평가하고 다음 계절에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레빈슨의 네 계절 중에 지금 나는 어디에 속하고 있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뒤를 돌아볼 사이 없이 치열하게 달려왔던 성년기를 지나서 중년기로 접어들었고, 현재는 50세 전화기를 앞 두고 있습니다. 레빈슨의 발달단계에 따른 주요 과업에서 중년기의 진입에서는 새로운 직업이나 현재의 일에 대한 재구성, 재혼 등의 새로운 인생 구조를 수립하는 발달과업이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Jung)의 성인기 분석이론 - 융의 생애 (0) | 2022.12.29 |
---|---|
레빈슨(Levinson)이론의 주요 개념 (0) | 2022.12.01 |
에릭슨(Erikson)의 성인기이론 (0) | 2022.11.15 |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감 (0) | 2022.11.08 |
에릭슨(Erikson)의 자아정체감의 형성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