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빈슨 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기
레빈슨은 인생 구조이론에서 주요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인생주기, 계절, 인생의 구조, 시기와 단계, 전환기로 설명하였습니다.
1. 인생주기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양상을 따라 진행되는 탄생(출발점)에서 죽음(종결)까지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2. 계절
인생주기에서 일련의 시기 또는 단계들을 계절에 비유하였습니다. 봄은 아동기와 청년기를, 여름은 성년기를, 가을은 중년기를, 겨울은 노년기에 비유하며 질적으로 상이한 4개의 계절이 존재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계절에 비유한 것은 인생의 과정은 분명하게 구별되는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연속된 일정한 양식들을 통해 전개가 된다는 것입니다.
어떤 계절도 다른 계절보다 더 중요하지 않으며, 한 계절에서 다른 계절로 바뀔때는 전환기가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계절의 변화과정에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연속성이 있습니다.
3. 인생의 구조
레빈슨이 주장한 인생의 계절론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핵심개념으로, 특정의 시기에 개인 생활의 기초가 되는 유형이나 설계를 말합니다. 인생의 구조는 종교, 인종, 가족, 직업 등과 같은 개인의 사회적 세계, 갈등, 불안, 감정, 가치 등의 자아의 여러 측면들, 주변 세계에 대한 개인의 참여 등 세 가지 관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생의 각 시점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따라서 인생구조가 달라지는데, 남자 성인에게 있어서 공통된 중심 요소는 꿈을 형성하고 수정하기, 직업을 형성하고 수정하기, 사랑-결혼-가족을 형성하고 수정하기, 스승 관계를 형성하고 수정하기, 우정관계를 형성하고 수정하기라고 하였습니다.
4. 시기와 단계
레빈슨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여러 사람들의 독특하고 복잡한 인생과정들을 추적하고 연구하였습니다. 그는 각 시기가 시작되는 특정 연령과 끝나는 연령을 제시하고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시작되고 종결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또한 한 시기의 발달과업은 단계들을 통해 수행되는데, 각 단계는 시기를 연결하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합니다.
성인들을 대상으로 10년 이상 연구한 결과, 성인기에는 발달이 일어나지 않거나 발달이 일어난다 할지라도 속도가 매우 다양하며, 연령과는 별로 상관이 없다는 기존의 인식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전환기
시기를 교차하는 전환기는 인생주기에서 결정적인 전환점이 됩니다. 전환기의 발달과제는 현재 인생 구조를 재평가하고, 자신과 세계 안에 새로운 가능성들을 탐색하며, 새로운 인생 구조를 형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선택을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대략 5번 정도 지속되는데 삶을 새롭게 쇄신하거나 침체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Jung)의 성인기 분석이론에서 성격의 구조 Ⅰ (0) | 2022.12.30 |
---|---|
융(Jung)의 성인기 분석이론 - 융의 생애 (0) | 2022.12.29 |
레빈슨(Levinson)의 인생구조이론 (0) | 2022.11.16 |
에릭슨(Erikson)의 성인기이론 (0) | 2022.11.15 |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감 (0) | 202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