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비고츠키 이론

728x90
SMALL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 비고츠키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비고츠키는 피아제와 같이 1986년 러시아에서 태어났습니다. 80세 이상 연구를 한 피아제와는 달리 비고츠키는 38세의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생을 마감합니다. 그는 모스크바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고, 문학과 언어학을 공부했습니다. 비고츠키는 아동발달에서 문화와 사회적 관계를 강조하였기 때문에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으로 불리게 됩니다.

1. 비고츠키 이론의 특성

그는 특정한 문화의 가치와 신념, 관습, 기술이 어떻게 다음 세대로 이어지고 전수되는지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즉 부모와 또래, 교사, 기타 성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계를 이해한다고 하였습니다. 아동과 성인과의 대화가 특정 문화에 대해 적절하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을 습득한다고 하였으며, 아동의 성장에는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2. 비고츠키 이론과 피아제 이론의 차이점

아동의 인지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비고츠키와 피아제는 접근방법이 달랐습니다. 비고츠키가 주장한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은 피아제가 간과했던 사회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일깨워, 아동의 인지발달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습니다. 피아제가 인지발달의 문화적 보편성을 주장하였다면, 비고츠키는 인지발달의 문화적 특수성을 강조했습니다.

3. 아동발달에 대한 비고츠키의 견해

첫째, 아동의 인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혼잣말과 같은 정신활동은 이해될 수 없고, 발달과정에서의 한 단계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아동의 인지 기술은 발달의 차원에서 분석되고 해석될 때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습니다. 둘째, 인지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재하는 도구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한데 바로 언어입니다. 즉, 인지기술은 정신활동을 도와주는 도구인 언어에 의해 중재되는 것입니다. 셋째, 아동발달은 사회문화적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했습니다. 기억과 주의집중, 추론 등의 발달은 사회가 만들어낸 언어나 수리체계, 기억 전략을 사용하는 학습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사회문화적 인지발달이론 비고츠키 이론을 정리하며

아동발달과 비고츠키이론을 배울 때 비고츠키 하면 비계라고 외워서 공부했습니다. 시험문제에는 아동발달에 대한 그의 견해와 생애에 관한 내용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었는지도 모릅니다. 다시금 비고츠키 이론을 보면서 그가 젊은 나이에 요절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그의 이론이 아동발달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한데 왜 그런지에 대해 알 수 있을 것만 같습니다. 아동의 인지발달에 있어서 성인과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에 대한 그의 주장은 아이를 양육할 때 어떻게 케어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주는 것으로 들립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