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아동발달 도덕성발달 정신분석 이론으로 살펴보기

728x90
SMALL

아동발달에서 도덕성 발달을 정신분석 이론으로 살펴보기

도덕성이란 무엇일까요? 옳고 그름을 구분해서 그에 따라 행동하고 공정한 행동을 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자신이 세운 기준에 위반하는 행동은 죄책감 또는 불쾌한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덕성 발달에서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도덕성은 어떤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평가인 도덕적 판단이고, 사고나 행동에 대한 정서적 반응인 도덕적 감정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행동을 해야 옳은지 안다고 해서 반드시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실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도덕적 행동 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도덕성 발달을 정신분석 이론으로 살피기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성된다고 하였습니다. 도덕성의 발달은 초자아의 형성과정으로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초자아는 3세~6세(남근기) 동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형성이 됩니다. 이 시기의 아동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해결로 자신의 성과 같은 부모를 동일시하며 부모의 행동이나 가치를 자신에게 내면화시킵니다.

 

 

 

 

초자아가 발달된 아동은 자신에 대해 엄격하고 나쁜 행동을 했을때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며 자아를 스스로 처벌합니다. 도덕적으로 성숙한 아동은 자존감을 유지하고 부정적 감정을 피하기 위해 도덕적 규범을 벗어난 것에 대해 저항하게 됩니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도덕성 발달적 측면에서 보기

프로이트의 이론을 도덕성 발달적 측면에서 본다면 자부심, 수치심, 죄책감과 같은 도덕적 정서가 윤리적 행동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이에 더해 도덕적 원리의 내면화가 도덕적 성숙으로 가는데 결정적임을 설명했다는 것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초자아 형성이 거세 불안으로 완전해진다고 주장한 그의 이론으로 여성은(거세 불안이 없으므로) 초자아가 약하게 발달된다고 하는 것은 자신의 문화적 고정관념을 반영한 것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도덕성 발달 정신분석 이론적 측면을 정리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1993)의 이론은 지금까지 아동발달의 이론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동발달뿐만 아니라 도덕성의 발달에 있어서도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발달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과정으로 설명하는 그의 주장에 빠져들 수밖에 없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