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 구체적 조작기 더 알아보기

728x90
SMALL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에서구체적 조작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피아제의 연구에 따르면 7세 ~11세의 구체적 조작기는 아동의 인지발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이전보다 아동의 사고는 더 논리적이고 융통성이 있으며 체계화되어 성인의 추론 능력과 유사해진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아동은 구체적인 정보를 다룰 때에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지만 추상적인 정보를 다룰 때는 정신적인 조작을 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서보존 개념의 형성

보존 과제를 성공하는 것은 조작을 할 수 있다는 증거입니다. 액체 보존 실험에서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액체의 양이 변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게 됩니다. '물의 높이가 더 낮지만 너비는 더 넓어요. 다시 부어보면 똑같은 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요.'라고 말할 수 있게 됩니다. 아동의 너비의 변화가 다른 측면의 변화를 보상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탈 중심화를 시작하게 됩니다. 수-길이-액체-질량-무제 순으로 보존 개념을 획득합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분류 관계 이해

상위 유목과 하위 유목 간의 관계,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한 유목 포함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은 아동이 분류 위계화의 개념이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서열화 가능

아동에게 길이가 다른 막대를 가장 짧은 것부터 긴 것으로 순서대로 배열하라고 하면 학령전기 아동은 서열화를 할 수 있으나 시행착오를 거치게 됩니다. 만 6세~7세 아동은 순서에 따라 계획적으로 서열화를 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정신적으로 서열화를 할 수 있는 전환적 추론이 가능해집니다. 길이가 다른 세 나무 막대기가 있습니다. 막대기 A가 막대기 B보다 길고 막대기 B는 C보다 깁니다. 이 시기의 아동은 나무 막대기 A가 막대기 C보다 길다는 것에 대한 추론이 가능해집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구제적 조작기를 정리하며

이와 같이 직관적 시기에는 결여되었던 보존 개념, 분류능력 등이 가능해지는 시기가 구체적 조작기입니다. 아동의 인지발달은 체계적으로 논리적으로 점차 발달하게 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