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발달 이론에서 피아제의 형식적조작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아동기를 지나 청소년기가 되면 사고능력이 보다 추상적이며 논리적이고 이상적이 됩니다. 아동기와는 달리 구체적인 사물(또는 사실)에만 의존하여 사고하지 않고 가설적인 상황(또는 추상적인 계획 등)을 기초로 사고할 수 있는 논리적인 추론이 가능해지는 시기입니다.
피아제의 이론에서 추상적 사고란 무엇인가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청년은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에 비해 보다 추상적으로 사고가 가능합니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이 a=b이고 b=c 이면 a=c라는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물을 보고 판단하지만 청소년기에는 말로 설명만 들어도 이해가 되고 a=c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피아제의 이론에서 가설적-연역적 추론 능력이란 무엇인가
형식적 조작기의 청소년들은 논리적으로 사고를 합니다. 어떤 문제에 직면하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요인들의 일반적인 이론으로 시작해서 앞으로 전개될 일에 대한 가설을 추론합니다. 실제 상황에서 어떤 것이 성공하는지 순차적으로 가설을 검증하게 됩니다.
피아제의 이론에서 전자과제 실험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에게 길이가 다른 실, 그 실에 묶여 있는 무게가 다른 물체와 실이 걸려 있는 판을 보여줍니다. 호를 따라서 진자가 흔들리는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도록 합니다. 구체적 아동기의 학령기 아동은 비체계적으로 실험을 하여 관계된 요인을 찾아내지 못합니다. 이에 비해 청소년은 네 개의 가설을 생각해 냅니다.
피아제의 이론에서 전자과제 실험의 결과
줄의 길이, 줄에 걸려 있는 물체의 무게, 진자가 운동하기 전의 물체 높이, 물체를 미는 힘, 형식적 조작기의 청소년은 모든 상황을 같게 하면서 한 번에 한 요소만 다르게 하여 각각의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시험 결과 줄의 길이만이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아내게 됩니다.
피아제의 이론 형식적 조작기를 정리하면서
이렇듯 피아제는 아동을 능동적인 학습자로 보았습니다. 스스로 지적인 갈등과 의문을 가지면서 실험하고 발견하는 과정 속에서 지식을 구성해 간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피아제가 주장한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사고는 정서와 사회성, 도덕성 발달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성발달 Piaget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보기 (0) | 2022.06.29 |
---|---|
아동발달 도덕성발달 정신분석 이론으로 살펴보기 (0) | 2022.06.27 |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 구체적 조작기 더 알아보기 (0) | 2022.06.23 |
피아제 이론 직관적 시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6.22 |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전조작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