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전조작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728x90
SMALL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에서 전조작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전조작기라는 것은 아동이 조작적인 방식으로 사고하지 못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작이라는 것은 이 시기의 아동(영아)이 어떤 행동을 하기에 앞서 정신적으로 그 행동을 그려보는 내면화된 행동을 의미합니다. 피아제는 전조작기를 전 개념적 시기와 직관적 사고 시기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전조작기의 초기 단계(전 개념적 시기, 2세~ 4세)의 사고의 특징은 상징적 기능의 출현, 자기중심적 사고, 물활론적 사고가 대표적입니다.

피아제 이론 전조작기에서상징적기능이란?

이 시기(전조작기) 가장 중요한 인지적 성취는 상징적 사고의 출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유아가 눈에 보이지 않는 사물(또는 행동)을 표상하기 위해 다른 무언가를 사용하는 능력을 일컫습니다. 그만큼 아동의 정신세계가 확장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상징놀이, 유아의 그림 그리기, 언어를 통해서 표현이 됩니다. 이 시기 아동의 그림을 보면 해와 달을 그릴 때 눈, 코, 입을 그려 넣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동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심상을 그림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시기의 아동은 베개를 아기라고 하면서 업고 다니며 놀기도 합니다. 블록 쌓기(레고 등) 놀이의 블록을 자동차라고 부르며 놀기도 합니다. 이는 모두 상징적 기능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피아제 이론 전조작기에서 자기 중심성이란?

자신의 관점과 타인의 관점을 분리하여 생각하지 못하는 자기중심적 사고를 하는 시기입니다. 자신의 관점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서 다른 사람도 자신과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낀다고 여깁니다. 자신이 갖고 싶은 물건은 어른인 엄마도 갖고 싶어 한다고 생각합니다. 엄마의 생일날 로봇을(또는 인형) 선물하며 기뻐하는 것도 이 시기 아동의 사고의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피아제의 세 개의 산 실험은 전조작기 아동의 자기 중심성을 잘 말해주는 실험입니다.

피아제 이론 전조작기에서 물활론이란?

구름, 돌, 나무, 꽃 등도 사람처럼(생명체처럼) 믿는 것을 물활론적 사고라고 합니다. 유아기 초기에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사고의 특징입니다. 예시로 바닷가에 놀러 간 유아가 파도가 해변으로 밀려와 신발을 적시면 "저리 가, 오지 마"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나무에서 잎이 떨어지는 것을 보면 나무가 나뭇잎이 너무 무거워서 가볍게 하기 위해 떨어뜨린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피아제 이론 전조작기를 정리하면서

이 글을 정리하면서 중학생으로 훌쩍 큰 조카의 어린 시절을 돌아보았습니다. 조카의 유아기 시절에 물활론적 사고의 특징이 곳곳에서 나타났습니다. 예쁜 꽃을 보면 좋아하면서 "집에 같이 가자"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엄마 생일날 아끼는 자동차 장난감을 선물했던 재미있는 추억이 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