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아동의 무의식적 사고를 중요하게 다룬 이론이 정신분석이론이라면 아동의 의식 적인 사고의 중요성을 다룬 이론은 인지발달이론입니다. 인지발달이론은 무의식적 사고 과정이 아닌 합리적인 사고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인지발달이론 학자는 피아제, 비고츠키 등이 유명합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는 1896년 스위스에서 태어났습니다. 21세에 박사학위 논문을 받을 만큼 과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슬하에 세 자녀를 두었는데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을 보면서 아동의 사고는 성인의 사고와 다르다는 것을 찾아냈습니다. 그에 의하면 인지발달은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적응과정이라고 하였습니다. 오늘날 아동의 사고에 대한 연구에서 피아제의 이론은 매우 중요한 이론적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의 주요 개념
1) 도식: 사물, 사건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타나 냅니다. 빨기나 잡기 등의 도식은 본질적으로 반사적인 행동입니다. 반사적인 행동도 환경의 요구에 따라 변화를 합니다. 빨기는 유아가 성장하면서 숟가락을 사용하는 형태상 변화를 겪게 됩니다. 빨기라는 도식은 구조적으로는 변했지만 수행하는 기능은 변한 것이 아니라고 하였습니다.
2) 적응: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도식이 점점 변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동화와 조절이라는 두 가지 수단을 통해서 진행이 됩니다.
3) 동화: 기존의 도식을 사용해서 새로운 자극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동화의 예시로 유아가 음식이든 장난감이든 무엇이든 입으로 가져가는 것을 말합니다.
4) 조절:기존의 도식으로는 새로운 사물을 이해하기 어려울때 기존의 것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조절의 예시로 아동이 고양이를 보고 강아지라고 했을 때 "아니야. 이것은 고양이야."라고 하면 새로운 도식을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3) 평형: 동화와 조절의 균형을 말합니다. 동화, 조절, 평형을 설명하는 예시가 있습니다. 유아가 하늘을 나는 물체는 새라고 배웠습니다. 하늘에 날아다니는 물체를 보면 아이는 새라는 것에 자신의 생각을 '동화'시킵니다. 어느 날 하늘을 날아가는 비행기를 봅니다. 아이는 기존 개념인 '새'에 결부시키려고 하나 기존에 알고 있는 '새'하고는 지금 본 물체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기존의 체계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 과정이 '조절'입니다. 이런 상태를 불평형 상태라고 합니다. 주요 양육자에게 저 물체가 무엇인지 물어봅니다. '새'가 아니라 '비행기'라는 답을 듣게 됩니다. 아이는 이제 새와 비행기의 차이를 알게 됩니다. '평형'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피아제의 인지바달 이론을 정리하면서
위와 같이 어른의 사고 체계와는 다른 아동의 사고에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피아제의 연구가 중요한 것은 바로 이런 점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세 자녀의 성장을 보면서 세심하게 그 변화와 특성을 관찰한 피아제의 연구가 정말 위대해 보입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전조작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5.18 |
---|---|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5.17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에릭슨 이론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5.06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5.05 |
프로이트의 인간달발 단계에 대해 더 알아보기 (0) | 2022.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