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프로이트의 청년기 방어기제 이론에 대해 더 알아보기
아버지인 프로이트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청년기 발달에 대해 재해석하고, 프로이트의 이론을 확장시킨 점에서 안나 프로이트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프로이트와는 다르게 자아의 역할을 강조하였습니다. 프로이트가 원초아를 강조한 만큼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자아의 성장과 발달, 기능에 관해 쉽게 설명하고 분석하였습니다.
6) 방어기제: 투사
내부에서 일어나는 용납하기 힘든 충동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점에서는 합리화와 비슷합니다. 용납될 수 없고 좌절을 안겨주는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킬 수 있고(불안을 해소),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며 그 대상을 불평함으로써 자신의 긴장과 좌절을 해소하고 결백한 척 할 수 있는 방어기제입니다.
7) 방어기제: 부정
가장 원초적인 방어기제로, 현실을 왜곡할뿐만 아니라 현실 자체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억압과는 반대로 외부 세계의 현실에 초점을 맞춥니다. 부정의 과정은 무의식이므로 거짓말하고는 다릅니다. 기억에서 그 현실을 완전히 차단해 버리는 것이 부정의 방어기제입니다.
8) 방어기제: 승화
성적 본능이 신경증적인 행동으로 전이되지 않고 오히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유명한 누드화는 성적 충동이 승화된 것이라고 프로이트는 주장하였습니다.
9) 방어기제: 퇴행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극단적인 어려움을 겪을때 안정감을 느꼈던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자 하는 방어기제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아동이 동생의 출현으로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잃어버릴까 봐 손가락을 빨거나, 오줌을 싸는 등 어릴 적 행동으로 부모의 관심을 끄는 것입니다.
10) 방어기제: 보상
어떤 분야에서 특별히 뛰어나서 인정을 받음으로써 다른 분야에서의 실패나 약점을 보충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예를 들어, 지적으로 열등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신체를 단련하는데 과도하게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11) 방어기제: 금욕주의
성욕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오는 것으로 철저하게 자기를 부정합니다. 청년기의 금욕은 본능적 욕구에 대한 불신 있으며, 이는 모든 욕망을 억제하고 원초아를 완전히 무시하게 됩니다.
12) 방어기제: 지성화
종교, 철학, 문학 등 지적 활동에 몰입하여 성적 욕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청년들은 새롭게 획득한 추상적 사고로, 비교적 개인적인 감정을 드러내지 않은채 성에 관한 토론에 참여하게 됩니다.
안나 프로이트의 청년기 방어기제이론을 정리하며
안나 프로이트가 정리한 방어기제를 살펴보면서, 퇴행에 대해 관심이 갔습니다. 특히, 첫째 조카들의 모습을 보면 동생이 태어나 부모의 관심이 동생에게 쏠리게 되면, 기저귀를 다시 해 달라거나 엄마의 젖을 먹고 싶다는 표현을 하기도 했습니다.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사라질까봐 불안해서 나타나는 방어기제로 동생과 똑 같이 행동을 하면 다시 관심과 사랑이 자신에게 올 것이라고 위안을 받기 때문입니다. 모든 가족의 관심이 어린 둘째 조카에게 갈 때, 첫째 조카의 불안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의도적으로 첫째 조카에게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주었습니다. 방어기제와 관련한 에피소드가 생각이 나 적업보았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릭슨(Erikson)의 자아정체감의 형성 (0) | 2022.11.07 |
---|---|
에릭슨의 정체감발달이론 (0) | 2022.11.03 |
안나 프로이트(A. Freud)의 청년기 방어기제이론 1 (0) | 2022.11.01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의 단계 (0) | 2022.10.31 |
콜버그(Kohlberg)의 정의지향적 도덕성발달이론 (0)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