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Erikson)의 정체감발달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에릭슨은 안나 프로이트처럼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아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프로이트가 개인의 성격은 남근기에 완성된다고 한 반면, 에릭슨은 인생 초기의 경험도 중요하나 성장과정에서 문화적, 사회적 경험이 인격 형성에 중요하며 청년기에도 인성은 변할 수 있고 인간발달은 일생을 통해 계속되는 과정이라고 하였습니다. 그가 주장한 청년기 발달과업과 부분위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시간전망 대 시간혼미
성인기를 계획하기 위해 청년은 무엇이 되고자 하며 인생의 목표를 위해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를 과거의 경험을 통해 추정해 보는데, 이것이 시간 전망입니다. 그러나 과거와 미래를 통합함에 있어서 많은 기억과 기대, 가능성으로 시간혼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기의 인생의 시간표에 대한 전망은 보다 정교해집니다.
2) 자기확신 대 자의식
지나온 과거는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뜻하는 바를 성취할 가능성이 있는 것에 대한 믿음,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자기확신입니다. 가지확신은 자기반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위험이 따르며 고통스러운 자의식이 생깁니다. 자기확신을 위해 청년들은 자율성을 더욱 정교화하게 됩니다.
3) 역할실험 대 역할고착
청년들은 보다 많은 대안과 가능성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하기 전에 모든 대안에 대해 탐색하게 됩니다. 많은 역할들을 시도해보는 것이 바람직한데 역할실험이라고 합니다. 너무 많은 대안과 가능성으로 당황하게 되면 역할고착을 경험하게 됩니다. 역할실험을 통해 정체감을 형성하게 됩니다.
4) 도제수업 대 활동불능
청년기의 중요한 선택은 직업과 관련된 것으로, 이는 정체감의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어떤 직업을 갖느냐에 따라서 자신에 대한 견해가 달라질 수 있고 사회적 위치도 결정되므로 직업을 선택하기 전에 견습기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떤 직업을 선택했지만 열등감을 가지고 어떤 직업도 적당하지 않다고 느끼게 되면 활동불능을 경험하게 됩니다.
5) 성의 양극화 대 양성혼미
성인기의 발달과업과 위기는 친밀감 대 고립감입니다. 성인의 가장 친밀한 관계는 이성과의 관계이며, 미래의 친밀감을 위해서는 청년기에 성의 양극화에 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남성성, 여성성에 대한 확신감은 확고한 정체감 형성에 도움이 되지만, 양성혼미로 인해 자신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6) 지도력 및 수행 대 권위혼미
다양한 역할에 대한 실험, 직업에 대한 견습, 이성과의 친밀감 등은 자신의 위치를 발견하고 사회에 대한 기여에 도움이 됩니다. 폭 넓게 경험하는 것은 중년기의 생산성 대 침체성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권위혼미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치와 자신의 가치를 비교해서 개인적인 신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 신념의 실천 대 가치관혼미
전 단계에서 개인적 신념이 권위혼미를 극복해주었듯이, 개인의 신념과 철학은 청년들이 정체감 위기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청년기에 만들어진 개인의 신념은 모든 단계의 위기와 연관이 있습니다. 에릭슨은 청년기의 신념의 실천 대 가치관 혼미는 노년기의 통합감 대 절망감을 의미한다고 보았습니다.
에릭슨의 정체감발달이론을 정리하며
전공에서 공부를 할때는 에릭슨의 전생애적발달에 대해서 배웠고, 이처럼 청소년기의 정체감발달이론을 세부적으로 접하지는 못했습니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에릭슨은 청년기를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시기로 보았지만, 특별히 청년기가 질풍노도의 시기일 이유는 없다고 하였습니다. 청년기만 유독 힘들고 넘기기 어려운 격동이일 순 없다고 보았습니다.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의 심리적 유예기간으로 청년기는 의미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청년기를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기 까지 자신에 대한 결정을 잠시 보류할 수 있는 의미있는 시기라고 보았습니다. 성인기의 끝자락에 있는 지금, 뒤를 돌아보면 고등학교 시절 부터 시작된 자아정체감을 찾는 것은 대학시절 내내 계속되었고, 직장을 다니는 30~40대에도 계속되었습니다. 진정한 나를 찾는 것은 사실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에릭슨의 주장처럼 일생을 통해 계속된다는 것을 실감하며 현재를 살고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감 (0) | 2022.11.08 |
---|---|
에릭슨(Erikson)의 자아정체감의 형성 (0) | 2022.11.07 |
안나 프로이트(A. Freud)의 청년기 방어기제론 2 (0) | 2022.11.02 |
안나 프로이트(A. Freud)의 청년기 방어기제이론 1 (0) | 2022.11.01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의 단계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