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전조작기

728x90
SMALL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중에서 전조작기에 대해 알아보기

2세에서 7세 사이의 아동에게 나타나는 전조작기의 특성은 논리적인 조작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조작이란 이미 일어났던 사건을 내면화해서 서로 관련지을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1. 피아제 전조작기 단계에서 상징적 사고

상징은 어떤 다른 것을 나타내는 징표를 말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가상놀이가 가능한데, 가상적 사물 또는 상황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으로 상징화하는 놀이입니다. 병원놀이, 학교놀이, 소꼽놀이 등이 해당이 됩니다.

 

 

2. 피아제 전조작기 단계에서 자기중심적 사고

우주의 모든 현상을 자기중심으적으로 생각하는 시기입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느끼는 것, 알고 있는 것은 다른 사람도 좋아하고 느끼고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는 아직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피아제 전조작기 단계에서 물활론적 사고

생명이 없는 대상에게 생명과 감정을 주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지나가다 의자에 부딪쳐 넘어진다면 의자를 손바닥으로 밀치면서 위협을 가하는데, 가지를 일부러 넘어뜨렸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4. 피아제 전조작기 단계에서 인공론적 사고

물환론적 사고와 관련이 있는데, 유아의 자기중심적 사고의 특성의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 또는 현상은 사람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하늘의 해, 달도 사람이 필요해서 만들 하늘에 걸어두었다고 생각합니다.

 

 

5. 피아제 전조작기 단계에서 전환적 추론

성인과 같이 귀납적 추론이나 연역적 추론을 하지 못하는 유아는 한 특정한 사건으로부터 다른 특정 사건을 추론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낮 시간에 항상 낮잠을 다던 아이가 어느 날 자기 않았다면, 내가 낮잠을 자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낮이 아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피아제 인지발달 단계 전조작기를 정리하며

조카의 유아기적 모습을 떠올리면 물활론적 사고의 특성이 나타난 에피소드가 생각이 납니다. 처음으로 바닷가에 조카를 데리고 갔는데 파도가 밀려와 신발 가까이에 오자 뒷걸음 치며 "저리 가~"라고 하자 가족 모두가 웃었던 추억이 있습니다. 남동생이 어렸을 때는 엄마의 생일날, 조용히 다가와서 가장 아끼는 건담 로봇을 엄마에게 선물한 재미있는 추억도 있습니다. 유아기 시기에 나타나는 사고의 특성입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