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주목받게 된 것은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의 형성이었습니다. 인간에게는 생리적 욕구, 안전에 대한 욕구, 애정과 소속의 욕구, 자아존중감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로 다섯 가지 욕구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유기체는 하위 욕구가 충족이 되면 상위 욕구를 추구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가령, 배고픔과 목마름과 같은 생리적 욕구를 가진 사람은 다른 욕구에 의해 동기화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금 단계(생리적 욕구)의 욕구가 충족이 되면 그 다음 단계의 욕구(안전에 대한 욕구)를 추구한다는 것입니다.
욕구위계이론에서 생리적 욕구
물, 공기, 음식, 수면, 성욕 등 생존을 위해 필요 불가결한 것을 말합니다. 모든 욕구 중에서 가장 강렬한 욕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욕구위계이론에서 안전의 욕구
안전, 안정, 보호, 질서, 불안과 공포로부터 벗어나기 등과 같은 욕구를 말합니다. 발생할지도 모를 불상사에 대비하기 위해 안전을 위한 보험가입, 은행에 저축하기, 안정된 수입을 위한 직장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욕구위계이론에서 소속의 욕구
특정한 사람들과 친분을 쌓고 어떤 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합니다. 우리는 외톨이가 아닌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소속감을 느끼기를 원하고 특정한 사람들과 친밀감을 나누며 애정의 욕구를 만족하려고 합니다. 사랑을 받는 것, 사랑을 주는 것 모두 해당이 됩니다. 사랑의 욕구가 충족이 되면 다른 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갖게 됩니다.
욕구위계이론에서 자아존중감의 욕구
뭔가 배워서 기술을 습득하고, 맡은 일에 대해 성과를 내고, 작은 성취감이 쌓이고 칭찬을 받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으면 충족이 되는 욕구입니다. 명성, 존중, 지위, 위신, 평판, 사회적인 성과는 타인이 나를 존중해주기 때문에 갖게 되는 자아존중감입니다.
내적으로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는 것은 스스로 자기를 높게 생각하는 자아존중감입니다. 이 욕구가 부족하게 되면 무력감, 열등감, 좌절감, 자기 비하 등을 초래하게 됩니다.
욕구위계이론에서 자아실현의 욕구
인간욕구의 위계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욕구입니다. 이 단계의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최대한 발휘하고 성숙하고 건강한 사람입니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을 정리하며
매슬로우는 자아실현의 성격특성을 연구했는데 면접과 자유 연상, 투사적 기법을 활용하였습니다. 흥미로운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들은 효율적인 현실 지각, 자신과 타인에 대한 수용, 자연스러움, 문제 중심적, 초연함, 자율성, 신선함, 신비로운 경험, 인류애, 깊고 풍부한 대인관계, 민주적인 성격구조, 수단과 목적의 구분, 철학적인 유머감각, 창의성, 문화에 대한 저항 등이었습니다. 그중에서 눈길을 끄는 것이 초연함과 자율성, 문제 중심적, 창의성, 철학적인 유머감각이었습니다.
현재 발생한 일에 대해 때로는 문제를 직시하지 못하고 자신을 비판하고 열등감에 휩싸이곤 하는데, 매슬로우의 연구 결과를 읽으면서 피식 웃음이 나왔습니다. 요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창의성과 초연함입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에서 창조적인 에너지를 발취할때 성취감을 느끼고 그것이 타인과 인류에 도움이 된다고 정말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비(Bowlby)의 애착이론 (0) | 2022.10.20 |
---|---|
로저스(Rogers)의 인간중심이론 (0) | 2022.10.19 |
반두라(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0) | 2022.10.17 |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0) | 2022.10.14 |
왓슨(Watson)의 행동주의 이론 (0) | 202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