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728x90
SMALL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에 대하여

스키너는 그의 연구에서 인간의 행동은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첫째는 반사로,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으로 구성됩니다. 자극과 반응과의 관계는 생물학적이고 선천적인 것입니다. 모든 유기체에서 보이는 단순 반사를 반응적 행동이라고 했습니다. 두 번째는 조작적 행동입니다. 아동의 어떤 행동이 강화를 받으면 그 행동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벌을 받게 되면 다시 일어날 확률이 낮아집니다.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에서 강화인이란?

긍정적 강화인은 행동을 다시 나타나게 할 확률이 높아지는 자극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책상 정리를 잘 한 아동에게 용돈을 주거나 칭찬을 하면 그 행동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인데 이것을 강화인이라고 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부정적 강화인은 철회함으로써 다시 나타나게 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불쾌감을 주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을 없애면 그 행동이 강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부정적 강화인은 벌과는 다릅니다. 벌은 행동의 발생을 감소시키지만, 부정 적강 화인은 긍정 적강 화인과 마찬가지로 행동의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에서 소멸과 벌이란?

조작적 행동에 영향을 주어 빈도를 줄이거나 중지하도록 하는 요인이 있는데 이를 소멸이라고 합니다. 소멸은 어떤 반응이 더 이상 강화되지 않을 때 나타납니다. 벌은 혐오스럽거나 불쾌한 자극을 주어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주차금지구역에 주차를 하여 주차 위반증을 받아 벌을 받게 된다. 이때 주차 위반증은 처벌인에 해당됩니다.

 

 

 

벌과 강화인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기

벌은 긍정적 강화인의 철회, 부정적 강화인의 제시와 연결됩니다. 자극의 제시 또는 철회가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와 연결됩니다. 만약 그 효과가 행동의 빈도수를 증가시킨다면 강화인이 됩니다. 반면, 행동의 빈도수를 줄인다면 처벌인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자극의 특징이 아니라 행동에 미치는 효과입니다.

 

 

 

즉, 부정적 벌과 소멸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멸은 결과가 없지만 부정적인 벌에는 결과가 있습니다. 좋지 못한 행동을 한 아동에게 장난감을 빼앗아, 나쁜 행동이 줄어든다면 부정적 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을 정리하며

스키너의 이론을 정리하면서 생각나는 에피소드가 있었습니다. 유치원에 다닐 때, 초등학교 시절을 돌아보면 어떤 행동을 자주 하게 하거나 그 행동을 독려하고 싶다면 선생님들께서 칭찬을 해 주셨던 것이 기억이 났습니다. 교실에 들어서면서 인사를 했을 때 칭찬을 해 주셔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 뒤로 아침에 교실에 들어갈 때마다 기분 좋게 인사를 했습니다.

 

 

 

 

복도를 걸을때 한쪽으로 비켜서 살금살금 걸을 때 칭찬을 해 주셨고 그 뒤로도 계속 그 행동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을 했을 때는 벌을 받았습니다. 벌을 받게 되면 '아, 이 행동을 하면 안 되는구나.'라고 학습이 되었고 그 뒤로는 그 행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