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반두라(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728x90
SMALL

반두라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사회적 환경과 아동의 인지능력이 학습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습니다. 아동의 행동이 갑작스러운 변화를 나타내는 것은  고전적 조건 형성, 조작적 조건 형성을 통해서가 아닌,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함으로 학습된다고 하였습니다.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 것, 즉 모방 또는 모델링이라고 합니다.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구성요소

반두라는 관찰학습에서 성공적인 모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의, 기억, 운동 재생, 동기유발의 네 가지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첫째, 주의 과정은 모방이나 관찰학습이 일어나기 위해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하거나 정신을 집중하는 것을 말합니다. 둘째, 기억 과정은 한 사건의 중요한 형상을 기억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형상은 회상될 수도 있고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습니다. 모델을 관찰한 후 시간이 지나야 모방이 나타나므로 상징적인 형태로 모델의 행동을 기억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셋째, 모방하고자 하는 행동의 운동재생과정입니다. 행동의 신체적 수행능력이 학습자에게 필요합니다. 넷째, 동기유발은 직접 강화 또는 대리 강화의 형태를 취합니다. 직접 강화의 동기유발은 전통적인 S-R 모형, 관찰핛브에서 제시하는 강화와 같은 형태입니다. 대리 강화란 잠재적인 학습자가 다른 사람이 강화를 받는 행동을 관찰하고 자신도 그런 행동을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서 상호 결정론이란

발달과정을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성으로 보는 양방향성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즉, 아동발달이 아동과 환경 간의 계속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아동이 경험하는 환경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고, 아동의 행동도 환경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사회학습이론에서 자기 효능감이란

자기 효능감이란 자신이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다는 개인적인 신념으로 어떤 행동을 모방할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자신의 능력 범위 내의 활동을 시도하고 자신의 능력을 벗어나는 과제는 회피하려 할 것입니다.

 

 

 

 

반두라는 아동은 자신의 능력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에 대한 약간의 과대평가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낙천적인 자기 효능감은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반두라는 자기 효능감에 대한 평가는 실제 수행, 대리 경험, 격려의 말, 생리적 신호의 네 가지 요인에 달려 있다고 하였습니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정리하며

반두라의 연구는 인지발달에서 사회적이고 정서적, 동기적 측면을 고려해서 인간발달의 이해를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반두라의 이론에 자극을 받아 공격성, 성역할, 감정이입, 친사회적 행동 등 많은 실험 연구가 이어졌습니다. 반두라의 관찰학습에 의한 모방 행동을 통해 아동에게 있어서 부모나 성인(교사, 어른 등)의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주는 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자신에 대한 신념인 자기 효능감이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어떻게 작용하고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아동의 성공적인 수행이 자기 효능감과 연결된다는 것을 보며 어떻게 교육하고 양육해야 되는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