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발달 이론에서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기
인지발달 이론은 아동의 인지구조의 내용과 정신과정의 질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동은 세상을 탐색하면서 지식을 적극적으로 구성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능동적인 존재로 인식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이론가로 피아제가 있습니다.
피아제가 주장한 인지발달이란
피아제는 아동에 대한 면접과 관찰을 통해 아동의 사고 과정은 지적 수준이 낮은 것이 아니라 성인의 사고와는 다른 사고 과정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아동은 보상, 강화에 의해 학습한다고 보지 않고 능동적으로 인지구조를 구성해 간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주요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피아제 인지발달의 지능
유기체가 환경에 적응하는 기본적인 생활 과정으로 정의합니다. 유기체는 지능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커져서 자신이 처한 상황의 요구에 잘 대처할 수 있습니다.
2. 피아제 인지발달의 도식
인지구조를 말합니다. 아동이 경험을 통해 사고, 행동의 조직화된 유형으로 구성해 나간다고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신생아는 반사적으로 엄마의 젖을 빨기 시작하지만, 빨기에 관한 행동 도식을 발달시켜 나갑니다. 우유병을 쥐고 빠는 경우에 손과 입의 사용에 대한 복잡한 도식을 갖게 됩니다.
3. 피아제 인지발달의 적응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식이 변화해 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4. 피아제 인지발달의 동화
새로운 대상, 정보를 아동이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에 맞게 받아들이는 과정입니다.
5. 피아제 인지발달의 조절
어떤 대상이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자신의 인지구조를 변화시켜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6. 피아제 인지발달의 평형
유기체가 인지적인 불균형을 경험할 때 평형상태를 유지하려는 성향을 의미합니다.
7. 피아제 인지발달의 발달
아동의 능동적 행동을 통해 보다 분화되고 포괄적인 인지구조를 만들어가는 구성 과정입니다.
8. 피아제 인지발달의 조작
논리의 출발점으로 되돌아가려는 능력으로 정보의 전환을 이해하는 능력이 있을 때 가능합니다.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평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은 아동이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해 가는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성장함에 따라 인지과정이 질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발달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0) | 2022.04.19 |
---|---|
아동발달 피아제 인지발달의 단계 (0) | 2022.04.18 |
비고츠키 사회문화적 이론 (0) | 2022.04.16 |
아동발달 생태학적 체계 이론 (0) | 2022.04.15 |
동물행동학이론 애착이론 로렌츠의 각인이론 (0) | 202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