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버그의 정의 지향적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콜버그는 피아제의 도덕성발달이론을 기초로 해서 그의 이론을 정립하였습니다. 1956년부터 10세~1세 사이의 아동과 청소년(7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여 30년 이상 계속되었습니다. 피험자들에게 도덕적 갈등 상황을 제시하고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가에 따라서 6단계로 도덕성 발달 수준을 구분하였습니다. 하인츠와 약사 이야기는 콜버그의 도덕적 갈등 상황에 관한 유명한 예시입니다.
하인츠와 약사 이야기란?
유럽에서 한 부인이 암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의사가 생각하기에 그 부인을 살릴 수 있을지도 모를 한가지 약이 있었다. 그 약은 같은 마을에 사는 약사가 개발한 것이었다. 그 약은 재료비도 비쌌고 약사가 원가의 10배나 비싸게 약을 팔았다. 부인의 남편인 하인츠는 약을 사려고 주변 사람들에게 돈을 꾸었지만, 약 값의 절반도 구하지 못했다. 하인츠는 약사에게 아내가 죽어가고 있으니 조금 싸게 팔아달라고 부탁을 했다. 약을 사고 모자라는 돈은 나중에 갚겠다고 사정을 했다. 그러나 약사는 끝내 하인츠의 부탁을 거절하였다. 하인츠는 절망한 나머지 그 약을 훔치기 위해 약방의 문을 부수고 들어갔다. |
* 하인츠는 약을 훔쳐야만 했는가?
* 훔치는 것은 옳은 일인가, 나쁜 일인가? 왜 그런가?
* 만약 다른 방법이 전혀 없다면 아내를 위해 약을 훔치는 것이 남편의 의무라고 생각하는가?
* 좋은 남편이라면 이 경우 약을 훔쳐야 하는가?
* 약사는 가격 상한선이 없다고 해서 약값을 본인이 워하는 만큼 많이 받을 권리가 있는가? 있다면 왜 그런가?
콜버그의 이론을 정리하며
콜버그의 이론의 핵심은 인지발달입니다. 각기 다른 도덕성발달 단계에서는 다른 인지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입니다. 인습적 수준에 도달하고 도덕적 규범을 따르기 위해서는 타인의 입장과 견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후 인습적 수준의 도덕적 추론은 형식적이고 조작적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사람이 후 인습적 도덕 수준에 도달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는 도덕성발달단계는 1단계부터 6단계까지 순서대로 진행한다고 하였습니다. 모든 사람이 최고의 도덕적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콜버그가 주장한 발달단계는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도덕적 동기에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면 극적인 진행이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쉰들러 리스트의 영화 주인공이 그 예입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나 프로이트(A. Freud)의 청년기 방어기제이론 1 (0) | 2022.11.01 |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의 단계 (0) | 2022.10.31 |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0) | 2022.10.27 |
애착반응에서 낯가림과 분리불안 (0) | 2022.10.26 |
애인스워드(Ainsworth)의 애착의 유형 (0) | 202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