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인스워드의 애착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기
애인스워드는 낯선 상황 실험(8가지 에피소드)을 실시하여 애착형성을 안정애착, 회피애착, 저항애착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제자였던 메인(Main)은 혼란애착을 추가하여 네 가지 유형을 완성하였습니다.
애착유형에서 안정애착
어머니와 놀때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어머니와 격리되었을 때는 능동적으로 위안을 찾고 탐색을 합니다. 어머니가 돌아오면 반갑게 맞이하며 쉽게 안정감을 찾는 유형입니다. 연구대상의 65%를 차지합니다.
애착유형에서 회피애착
어머니에게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 유형입니다. 어머니와 격리되어도 울지 않고 어머니가 돌아와도 무시하거나 회피합니다. 친밀감을 추구하지 않고 낯선사람에게도 비슷한 반응을 보입니다. 연구대상의 20%정도를 차지합니다.
애착유형에서 저항애착
어머니가 방을 떠나기 전부터 불안해하고 어머니 옆에 붙어서 탐색에 관심을 덜 나타냅니다. 어머니가 방을 나가면 심한 분리불안을 느낍니다. 어머니가 돌아와 안아주면 안정감을 찾기보다는 분노는 보이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어머니를 밀어내는 반응을 보입니다. 연구대상의 10~15%를 차지합니다.
애착유형에서 혼란애착
불안정애착의 가장 심한 형태이며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의 모습을 함께 보여줍니다. 어머니와 재결합 했을때도 얼어붙은 표정이며 어머니가 안아줘도 먼 곳을 쳐다봅니다. 연구대상의 5~10%를 차지합니다.
애인스워드의 애착유형을 정리하며
네 가지 유형의 애착유형을 공부하면서 조카들의 어린 시절이 생각이 났습니다. 첫째 조카는 엄마와 아주 밀접하게 애착이 형성되어 어린이집에 보낼 때 심한 불안감을 보였습니다. 엄마와 분리되는 것이 거의 공포에 가까울 정도로 반응을 했던 것이 기억이 납니다.
셋째 조카는 애착유형에서 저항애착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엄마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지만 돌아와도 반갑게 맞이하는 것은 잠시뿐, 분노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조카들마다 각기 다른 기질과 부모의 양육 특성으로 애착유형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0) | 2022.10.27 |
---|---|
애착반응에서 낯가림과 분리불안 (0) | 2022.10.26 |
볼비(Bowlby)의 애착이론 (0) | 2022.10.20 |
로저스(Rogers)의 인간중심이론 (0) | 2022.10.19 |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