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인간발달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이론입니다. 다섯 가지 환경체계로 설명하고 있으며,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가 그것입니다.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직접적인 환경부터 아동이 살고 있는 문화적 환경까지 모두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생태학적 체계의 본질은 상호작용에 있습니다.
1. 미시체계
아동이 살고 있는 집, 근처의 시설물, 학교 등 물리적 특성을 포함합니다. 아동의 가족과 친구, 학교, 이웃이 포함됩니다. 또래 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의 교육 수준, 교사의 신념 등은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줍니다. 아동과 부모, 친구, 교사 등 사회 인자 간에는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아동은 환경을 구성하는 능동적인 주체입니다. 미시체계는 아동이 성장하면서 변화합니다.
2. 중간체계
미시체계들 간의 상호관계, 환경들과의 관계입니다. 부모와 교사 간의 관계, 형제관계, 이웃 간의 관계가 속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면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고 보는 것입니다. 가족, 친구, 학교 등 다양한 상황에서 아동이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킵니다.
3. 외체계
아동이 직접 참여하지 않지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을 말합니다. 정부기관, 복지기관, 대중매체, 직업 등이 속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직업세계에서 부모의 업무시간, 업무장소, 수입, 휴가 일정, 전근 등은 자녀의 미시체계와 중간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거시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에 포함된 모든 요소에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적 환경까지 포함합니다. 신념, 태도, 전통을 통해 아동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체계보다 더 안정적이지만 사회적 변화게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거시체계는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지만 사회계획을 포괄함으로써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5. 시간체계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와 사회 역사적인 환경을 포함합니다.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겪게 되는 외적인 사건, 내적인 사건이 구성요소가 됩니다. 시간체계에 관한 연구들은 단일 사건에 국한하지 않고, 시간의 경과,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의 누적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이혼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이 이에 해당됩니다.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정리하며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공부하면서 어릴 적 에피소드가 떠 올랐습니다.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시골에서 살았는데 산과 들, 강이 항상 집 근처에 있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을 마치고 2학년에 올라오면서 도시로 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 살던 곳과는 전혀 다른 곳이었습니다. 친구, 학교, 집, 동네 등 적응을 하느라 힘이 들었지만(특히 버스와 차가 너무 많이 다녀서 항상 조심해야 했습니다.) 적극적으로 동네를 탐색하고 친구를 사귀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아동은 이렇게 주변 환경에 소극적이지 않고 능동적으로 탐색을 하면서 적응해 나가고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의 단계 (0) | 2022.10.31 |
---|---|
콜버그(Kohlberg)의 정의지향적 도덕성발달이론 (0) | 2022.10.28 |
애착반응에서 낯가림과 분리불안 (0) | 2022.10.26 |
애인스워드(Ainsworth)의 애착의 유형 (0) | 2022.10.25 |
볼비(Bowlby)의 애착이론 (0) | 2022.10.20 |